본문 바로가기

백준 그리디 알고리즘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백준 3109 빵집

문제

유명한 제빵사 김원웅은 빵집을 운영하고 있다. 원웅이의 빵집은 글로벌 재정 위기를 피해가지 못했고, 결국 심각한 재정 위기에 빠졌다.

원웅이는 지출을 줄이고자 여기저기 지출을 살펴보던 중에, 가스비가 제일 크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따라서 원웅이는 근처 빵집의 가스관에 몰래 파이프를 설치해 훔쳐서 사용하기로 했다.

빵집이 있는 곳은 R*C 격자로 표현할 수 있다. 첫째 열은 근처 빵집의 가스관이고, 마지막 열은 원웅이의 빵집이다.

원웅이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설치하려고 한다. 빵집과 가스관 사이에는 건물이 있을 수도 있다. 건물이 있는 경우에는 파이프를 놓을 수 없다.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모든 파이프라인은 첫째 열에서 시작해야 하고, 마지막 열에서 끝나야 한다. 각 칸은 오른쪽, 오른쪽 위 대각선, 오른쪽 아래 대각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각 칸의 중심끼리 연결하는 것이다.

원웅이는 가스를 되도록 많이 훔치려고 한다. 따라서,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여러 개 설치할 것이다. 이 경로는 겹칠 수 없고, 서로 접할 수도 없다. 즉, 각 칸을 지나는 파이프는 하나이어야 한다.

원웅이 빵집의 모습이 주어졌을 때, 원웅이가 설치할 수 있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R과 C가 주어진다. (1 ≤ R ≤ 10,000, 5 ≤ C ≤ 500)

다음 R개 줄에는 빵집 근처의 모습이 주어진다. '.'는 빈 칸이고, 'x'는 건물이다. 처음과 마지막 열은 항상 비어있다.

출력

첫째 줄에 원웅이가 놓을 수 있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이미 파이프를 둔 곳은 파이프를 둘 수 없으므로 visit이라는 리스트를 만들어 false로 초기화 한다.

또한 파이프는 기본적으로 오른쪽으로만 진행할 수 있고 위로, 앞으로, 밑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dx를 위(-1), 앞으로(0), 밑으로(+1)로 생성한다.

파이프의 시작은 가장 왼쪽에서 시작하고 끝은 가장 오른쪽에서 나기 때문에

행을 기준으로 반복문을 순회한다.

첫 위치가 파이프를 놓을 수 있는곳 ( . ) 이라면 앞으로 전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solve함수를 호출한다.

solve함수에서는 앞으로 전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dx를 순회하여 위로 움직이거나 밑으로 움직일 때 행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지 검사하고, 

해당 칸이 파이프를 놓을 수 있는 곳인지 검사( . ) 하고 아직 방문하지 않은 곳인지 검사한다.(visit)

이동 할 수 있는 곳이면 해당 칸을 True로 바꾸고 다음칸에 대해서 재귀적으로 함수를 다시 호출한다.

재귀의 종료 조건으로는 j==c-1 즉, 가장 오른쪽 줄까지 도착했을 때 최종적으로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True를 반환하고, ans를 증가시킨다.

 

import sys
count = 0
def solve(i,j):
    global count
    count+=1
    if j == c-1:
        return True
    for d in dx:
        if 0<=i+d<r and grid[i+d][j+1]=="." and not visit[i+d][j+1]:
            visit[i+d][j+1] = True
            if solve(i+d, j+1):
                return True
    return False

r, c = map(int, sys.stdin.readline().rstrip("\n").split())
grid = []
visit = [[False]*c for _ in range(0,r)]
for i in range(0,r):
    grid.append(list(sys.stdin.readline().rstrip("\n")))
dx = [-1,0,1]
ans = 0
for i in range(0,r):
    if grid[i][0] == ".":
        if solve(i,0):
            ans+=1

print(ans)